건강상식 이야기

몸에 좋은 한방차 알아보기(5)

FireMom 2017. 5. 31. 17:00

몸에 좋은 한방차 알아보기

 

오늘은 몸에 좋은 한방차 둥글레차, 국화차, 계피차, 조금은 생소한 생맥산차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둥글레차>

둥글레 뿌리를 말린 것으로 자양강장 효과가 있어 몸이 허약한 사람이 물처럼 마시면 좋습니다. 몸에 기운이 없고 식은땀이 나며 팔다리가 쑤실 때 입안이 마른 갈증이 있고 소변이 시원하지 못할때 둥글레차를 마시면 좋습니다. 둥글레의 뿌리는 열을 다스리고 허약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혈압과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이

있어 장기간 복용하면 안색과 혈색이 좋아집니다. 모든 체질에 다 맞고 마실수록 효과가 좋으므로 수시로 마시도록 한다. 기침이 날때 도라지나 대추, 감초 등과 함께 달여 마시면 기침이 잦아듭니다.

 



재료: 둥글레 10g, 물3컵

만드는 방법

1. 한약재상에서 파는 둥글레를 준비합니다.

2. 둥글레 10g을 물에 한번 헹군후 물3컵을

붓고 중간 불에서 끓이다가 약한 불로 줄여 계속 끓입니다.

3. 하루3번으로 나누어 보리차처럼 마십니다.

 

 

<국화차>

은은한 향기가 좋은 국화차는 간장을 보호하고 눈을 맑게 하여 머리를 맑게 하는 것으로 모니터를 많이 봐서 눈이 침침하고 열이 날때 달여 마시면 아주 효과적입니다. 신경을 많이 써야 하는 수험생이나 정신 근로자, 눈을 많이 사용하는 직종의 사람에게 더욱 좋습니다. 국화차는 이밖에 기침,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고 피부를 윤택하게 해 미용식으로도 좋습니다. 베개 속에 말린 국화 몇 송이를 넣어두면 일어 났을 때 머리가 한결 가벽고 개운해집니다. 말린 국화는 한약재상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직접 만들어 사용해도 됩니다.

 

재료: 말린 국화 4g, 물 1컵, 꿀 조금

만드는 방법

1. 활짝 피기 전의 노란 국화를 따서 끓는 소금물에 살짝 데칩니다.

2. 꽃잎이 숨이 죽으면 건져서 물기를 뺀 후 그늘에서 바싹 말립니다.

3. 말린 국화 4g을 찻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충분히 우립니다.

4. 찻물이 우러나면 꿀을 조금 넣어 따뜻하게 마십니다.

 

 



<계피차>

계피는 중추신경에 작용해 머리를 맑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두통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소화기에도 좋은 작용을 해 위장기능을 튼튼히 하며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소화가 잘 되게 합니다. 혈액순환을 좋게 해 각종 순환계

질환이나 수족냉증, 신경통에 효과가 있고, 식은땀을 멎게 해 감기나 한기, 해열 등에도 좋습니다.

독특한 향이 있고 효능이 다양해 한방 약재로 감초처럼 많이 이용됩니다.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마시면 머리가 맑아집니다.

 

재료: 계피 5cm 길이3개, 물10컵, 꿀1큰술,잣조금

만드는 방법

1. 중간 크기의 계피3개를 준비하여 물에 한 번 헹군 후 10컵의 물을 붓고 중간 불에서 1시간 정도 끓입니다.

2. 계피 향이 충분히 우러나고 물이 반으로 줄면 계피와 찌꺼기를 거즈에 걸러내고 식혀서 깨끗한 병에 담습니다.

3. 냉장고에 넣어 두었다가 1잔씩 따라서 따뜻하게 데워 먹습니다. 여름에는 차게 마셔도 좋습니다.

4. 먹기 직전에 꿀을 넣고 잣을 띄웁니다.

 

 

 

<생맥산차>

여름철 건강차로 마실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바로 생맥산차입니다. 갈증이 나고 기운이 없어서 나른 할때 땀이 많이 나고 짜증스러울 때 마시면 효과가 있습니다. 식욕이 없으면서 혀가 붉고 입안이 쓰게 느껴질 때도 좋습니다. 다만 몸에 열이 많아서 식욕이 왕성한 사람, 맥이 강하고 얼굴이 붉은 사람은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재료: 맥문동 20g, 인삼 10g, 오미자 10g, 물 10컵

만드는 방법

1. 오미자를 찬물에 씻어서 먼지와 잡티를 없앤 다음 물을 부어 10시간 동안 우려냅니다.

2. 오미자 우려낸 물에 인삼과 맥문동을 넣고 약한 불로 30-40분동안 끓입니다. 이때 오미자를 건져내지 말고 끓입니다.

3. 다 끓였으면 거즈에 찌꺼기를 거른 다음 마십니다. 남은 것은 냉장고에 보관해 두고 여러 번에 나누어 마십니다.